업데이트

그늘지다 가득찬 그림자의 꽃 : 신규함선 분석

에스나드 2019. 12. 25. 10:05

네 대형이벤트입니다. 귀찮아서 신규 함선 분석만 먼저 적었지만 올립니다. (나머지 합친 통합본은 주말중에 업데이트 예정)

지난번 대형이벤트인 홀로라이브 콜라보 이벤트 이후에 2주정도의 간격을 두고 대형이벤트가 시작되었습니다.

그 사이에 미니 이벤트인 워스파이트 개장용 검 이벤트야 복각 이벤트라서 사실 고인물들은 할꺼가 없는 이벤트였으니까요.

 

 

 

이벤트 기간 :

일섭, 중섭, 글섭 : 12/26 점검 이후 ~ 1/9 점검 이전

한섭 : 미확정

- 이전의 대형이벤트와 같이, 바로 A/C해역은 열리지만, B/D해역은 2일 후에 열립니다. 덕분에 재미없는 쪼랩존인 A/C에서 뱅뱅뱅 돌고 있어야하죠 -ㅅ-;;;

- B/D 해역 열리는 시간은 12/28 12:00 이후입니다.

- 한섭만 날짜 미확정입니다.

 

 

 

신규 기간한정 함선 : 

스루가 (전함, SSR) : 한정건조 (04:20:00, 2.0%) ONLY
류호 (경항공모함, SSR) : 한정건조 (02:22:00, 2.0%) ONLY
노시로 (경순양함, SSR) : 이벤트 포인트 8000PT 교환, 이벤트 해역 드랍, 한정건조 (01:20:00, 0.5%)
키누 (경순양함, SR, 개장) : 이벤트 포인트 4000PT 교환, 이벤트 해역 드랍, 한정건조 (01:05:00, 0.7%)
카스미 (구축함, SR) : 한정건조 (00:28:00, 2.5%)
히비키 (구축함, SR) : 이벤트 누적 포인트 보상 (10,000PT~) ONLY

 

 

스루가 (전함, SSR) : 한정건조 (04:20:00, 2.0%) ONLY

스텟 : 

기존의 전함 대비,

- 최상위권의 내구도 : 8천대 턱걸이가 보통 말하는 그냥 상위권 컷 정도고, 최상위권은 8200+@ 정도입니다. 그로세야 논외로 칩시다 DR이니

- 상위권의 화력 : 421이면 솔직히 최상위권은 못끼지만, 전함류 풀에서 맛탱이 간 애들도 많기에, 이정도면 상위권까지는 됩니다.

- 상위권의 뇌장 : 뭐, 이거야 이제 기형적인 몇몇 애들이 뇌장 수치가 있기에 그냥 상위권입니다.

- 하위권의 대공 : 솔직히 이거야 SSR기준으로 미전함들 제외하면 원래 이건 모두가 다 공평하게 하위권입니다.

 

스킬1 : 매 20초마다, 40(70)% 확률로 특수 탄막을 발사, PVP에서 해당 탄막은 강화됨

 

- 기존의 후드, 나가토, 모나크, 이즈모, 조지아 같은 주포 발사시 확률제 탄막이 아니라, 워싱턴이나, 앨러바마, 킹조지 같은 깡쿨 기준 확률제 탄막입니다. 한마디로 그냥 쿨 짧은맛에 쓰는 주포들 쓸 필요 없다는 소리입니다. (381밀연장포개량, 시제406밀SKC 등등)

- 클라상 데이터로는 구체적인 탄막 형태를 확인 못하기에, 아무래도 10랭 찍고 확인해야 합니다.

 

스킬2 : 본인이 전투 가능한 상태시, 주력함대가 피격시 매 40(70)% 확률로 15초간 주력함대의 데미지를 4.5(12)%를 감소시켜주는 버프를 발동. 해당 버프는 발동시부터 20초간의 쿨탐을 가짐. 본인의 내구도가 20% 이하가 될시에, 10%를 회복, 이는 전투중 단 1회만 발동 가능함.

 

- 길기 떄문에 찢어보죠.

 

- 전반부(주력함대 뎀감) : 본인이 전투 가능한 상태시, 주력함대가 피격시 매 40(70)% 확률로 15초간 주력함대의 데미지를 4.5(12)%를 감소시켜주는 버프를 발동. 해당 버프는 발동시부터 20초간의 쿨탐을 가짐. 

- 네 주력함대 뎀감 나왔습니다. 거기에 아마기의 경우와 다른점은 아마기는 적 스텟을 디버프했고, 이번은 아군 주력 함대의 받는 데미지가 감소이기에 중복 적용된다는 말입니다.

- 지속시간 15초 - 발동시작부터 쿨 20초 적용이기에, 최악으로 따지자면 뎀감 15초 - 미적용 쿨 5초 - 뎀감 15초 - 미적용 쿨 5초 이런식으로도 터질수 있다는 말입니다. 기존의 아마기 적 스텟 디버프가 -8%인걸 감안하면 사실상 주력함대한정이라지만 이쪽이 뎀감 비율은 더 높습니다.

 

- 후반부(본인 체력 회복) : 본인의 내구도가 20% 이하가 될시에, 10%를 회복, 이는 전투중 단 1회만 발동 가능함.

- 네 그냥 생존기입니다. 추가 버프가 없기에 그냥 한번 시간 끄는 용도입니다. 사실상 연습전용 스킬이라고 보면 됩니다.

 

 

총평 : 

 

- 아마기때의 느낌 같습니다. 이놈이 뭔가가 하면 될것 같은데? 싶은 아이. 문제는 해역에서 기대되는거보다는 연전에서 기대되는게 더 많다는 점입니다.

- 문제점은 과연 이녀석의 탄막이 얼마나 쌔고, 얼만큼의 범위냐? 이거 따라서 달라질 여지는 많은데다가 입지적으로 현시점(19/12)기준으로 가장 절대적 패왕인 나아히의 밥통에서 나가토는 단순 탄막러가 아니라, 버프+탄막러라는 점입니다, 나아히에서 어짜피 사용하는 전열은 아즈마, 오로라, 유키카제, 쥬노, 벨파스트(아즈마 없을시 한정) 이정도입니다. 나가토가 주는 버프가 자기 자신을 포함하는 후열 + 아즈마에게 영향을 매우 크게 주기 때문에, 없을시 차이는 클것으로 예상됩니다.

- 그렇다고 아마기의 뎀감을 빼느냐, 히류의 무적으로 시간 끌기는 빼느냐의 선택지도 스루가를 쓸려면 골라야되는 안좋은 의미의 선택을 해야 되는거구요. 그냥 아직까지는 알수없다! 가 요지입니다. (어짜피 스작 다 하는데 거의 3주는 먹을꺼구요)

 

 

류호 (경항공모함, SSR) : 한정건조 (02:22:00, 2.0%) ONLY

스텟 : 

기존의 서폿용 경항공모함 대비 (그냥 대공포 끼는 경우 한정입니다. 한마디로 센토, 레인저, 히요, 준요 같은 경우 제외)

- 최상위권의 내구도 : 어쩄든 얘보다 내구도 높은건 유니콘 감바루 하나입니다. 나머지는 다 얘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최상위권의 장전 : 느린거보다는 빠른게 좋은 시점에서 그냥 장전 높으면 자주 걀기니까 좋습니다.

- 상위권의 대공 : 12지 13지 투입에서 대공치가 높은게 생존률이 높다보니까, 아무래도 고려 대상입니다.

- 중위권의 항공 : 어짜피 보조긴 합니다만, 그냥 낮은거보다는 딜 조금이라도 높은게 낫긴 합니다. 어짜피 주 목적은 아니지만.

- 슬롯상 전투기 있음 : 기본적으로 전투기 유무로 결국 제공권 메타 나오면서 쇼호하고 유니콘이 갈린 이유도 있으니까요. 아무래도 전투기 있는 쪽이 제공권 장악에 훨씬 더 유리합니다.

 

스킬1 : 본인 항공 발진시 각 전투당 최대 3회에 한해서소속함대 함선 중에서 내구도가 가장 낮은 함선(*1)을 류호 내구도의 1.2(3)%(*2)씩 3초간 3회 회복(*3), 그리고 전투 개시시에 주력함대가 3척일 경우에는(*4), 힐량이 2배

 

*1: 절대 내구도가 가장 낮은 함선이 아니라, 내구도 % 기준으로 가장 낮은 함선, 그리고 장비빨 다 포함

*2: 류호의 장비빨을 다 포함한 최대 내구도 기준

*3: 힐을 받아서 내구도%가 가장 낮은 함선이 아니게 된다고 해도, 타겟으로 잡혀질 경우에는 중간에 힐이 무효화되거나, 변경되지 않음. 힐받는 함선의 최대 내구치를 넘길 경우에는, 실드가 만들어지지 않음

*4: 한마디로 주력이 3척으로 시작해서 중간에 1척이 전투 불능이 된다고 하더라도, 2배 효과는 유지된다는 소리

 

스킬2 : 본인이 전투 가능한 상태시, 전열이 적 잠수함 어뢰에 공격받는 데미지를 4.5(12)% 감소, 아군 잠수함이 전투에 참여시, 아군 잠수함의 내구도를 10(20)% 회복, 그리고 잠수함이 적을 격침시, 자신의 데미지를 1(3.5)%씩 증가, 최대 6회 중첩 가능.

 

- 쉽게 말해서 전반부는 아군 전열이 적 잠수함에게 받는 데미지 감소, 후반부는 아군 잠수함이 직접 전투에 참여시 잠수함 즉시 힐 + 잠수함 킬수에 따른 류호 자신 뎀증 자버프

 

 

총평 :

 

- 정말로 간만에 힐러 추가되었습니다!

- 일단은 총 힐량 기대값 기준이라면 가장 대표적으로 나올수 있는 유니콘하고 비교해봅시다.

 

유니콘 : 본인 항공 발진시 전열 함선 전체를 8%(*5) 회복

*5: 전열함선이 받는 힐량은 장비빨을 다 포함한 최대 내구도 기준

- 류호, 유니콘은 장비 슬롯이 어짜피 동일하고, 장전치는 류호 189, 유니콘 181으로 류호가 소폭 앞섭니다. 1회 발진시 쿨 예상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비, 레벨, 호감도는 동일하게 Me155A, 바라쿠다금딱, 120랩, 호감200 기준

류호 1회 힐 = 17.12초

유니콘 1회 힐 = 17.36초

 

힐 받는 함선이 유키카제를 기준으로 할시에 

- 유키카제 120랩 호감 200기준 기본 내구도 2352

- 유키카제에게 보통 생존형 세팅은 응급수리도구 + 강화 유압식 조타기 = 내구+560, 최종 내구 2912

 

류호 120랩, 호감도 200 기준으로 기본 내구 예상치는 5268
- 템빨로 내구도를 최대한 올릴수 있는 세팅은 응급수리도구 *2개 세팅으로 +500 *2로 +1000, 최종 내구는 6268 예상

- 해당 기준으로 틱당 힐량 예상은 188, 1회 힐당 힐량은 188*3 = 564, 그리고 주력 3척일 경우에는 1128

여담으로 유키카제 상대로 할시, 유니콘 1회 힐량 = 233,

( 단 이제 반대로 피통이 큰 중순/경순 라인을 상대로 할시에는 류호의 힐량은 변화없지만, 유니콘의 힐량은 론 120랩/호김200 30강 + 응수10강+비버즈10강 기준이  6830이기에, 유니콘 1회 힐량은 546으로 예상이기에, 전열이 경순 이상급으로 2척 이상일 경우에는 도저히 유니콘의 힐량을 따라잡을수 없음)

 

또한, 유니콘은 발진 몇회차건 전열 전체를 힐 해주지만, 류호는 3회차 발진까지만 힐 해줍니다.

- 그리고 류호는 전열만 힐을 해주는게 아니라, 전열 후열 안가리고 해당 함대 내에서 가장 내구도가 낮은 함선을 힐해줍니다. 한마디로 후열도 힐이 가능하다는 경우입니다.

 

- 류호의 성능/성격이 애매해지는건 스킬 2번입니다. 일단은 스킬 1번의 경우에는 힐이니까 무조건 좋은거입니다. 2번은 근데 적 잠수함을 상대하거나, 혹은 아군 잠수함이 투입되지 않는 이상 쓸모가 없습니다. 

- 자버프 감안하면 애당초 얘가 딜 버프를 받아야되는건데, 얘 장비 슬롯은 대공포가 끼어있어서 결국 메인 딜은 때려죽어도 못됩니다. 제공권에서 그나마 전투기 슬롯이라서 밥줄 유지하는걸로도 버거운 아이입니다. 뭐 쇼호보다는 제공권 장악측면은 더 낫구요.

 

- 그래도 어쩄든 스킬 1번만 따지고 봐도 류호는 키워볼 가치는 있어보이는 함선입니다.

- 단독 솔탱 구축함(이라고 쓰고 사실상 유키카제) 한정으로 유니콘보다 더 가치 있을수도 있는 함선.

 

 

노시로 (경순양함, SSR) : 이벤트 포인트 8000PT 교환, 이벤트 해역 드랍, 한정건조 (01:20:00, 0.5%)

스텟 :

뇌장 경순인 시점에서 어짜피 주 비교 대상은 그냥 유니온 라인이 아니라, 주로 중앵 혹은 로얄하고 비교일테니 그쪽 메이져한 함선들하고 비교하자면,

 

중앵

진츠改 내구2855 대공300 뇌장402 어뢰180% 
센다이 내구2780 대공276 뇌장391 어뢰180%
노시로 내구3278 대공333 뇌장373 어뢰175%
키누 내구3126 대공319 뇌장354 어뢰180%

 

로얄

벨파스트 내구3970 대공293 뇌장340 어뢰155%

스위프트슈어 내구3796 대공304 뇌장364 어뢰155%

시리우스 내구3744 대공385 뇌장161 어뢰130%

셰필드 내구3796 대공351 뇌장295 어뢰150%

뉴캐슬改 내구3928 대공387 뇌장285 어뢰125%

 

- 내구는 중앵권 내에서는 가장 높음, 대신에 로얄 대비 밀림

- 대공은 로얄-중앵권에서 상위권 위치

- 뇌장+어뢰 보정은 중앵권에서 상위권 위치, 당연히 로얄라인은 다 압도

- 어뢰에 목숨건 전형적인 중앵 라인업 다운 모습이라면 모습

 

스킬1 : 본인이 전투 가능한 상태시, 자신의 회피율이 5(15)% 상승, 전열 어뢰 피격 데미지가 5(20)% 감소

- 일단은 본인의 생존 조건부긴 합니다만, 자기 자신의 회피 상승이 아니라, 회피율 상승으로 받았기에 실제 영향은 훨씬 더 큰 상태고, 거기에 소속함대 전열의 어뢰 피격 데미지가 감소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일단은 이전의 뎀감 계열이 벌지와 중복 적용된것을 감안하면, 아마 벌지하고 적용이 될텐데, 곱연산으로 적용될지, 합연산으로 적용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스킬2 : 자신이 적 항공모함, 경항공모함에게 가하는 데미지가 5(20)% 상승. 본인이 전투 가능한 상태시, 전열의 어뢰 데미지 5(20)% 상승, 어뢰 크리티컬률 +12%

 

- 길지만 따지자면, 전반부는 적 항공모함/경항모에게 가하는 데미지 증가, 후반부는 본인 생존 조건하에서 진츠처럼 버프를 퍼부어줍니다. 차이점이라면, 진츠는 함종 제한이 구축함/경순양함으로 제한되었던데 반해서, 노시로는 그냥 전열 전체입니다. 중순들도 버프를 받을수 있고, 특히 이부키가 미쳐 날뛸 기세일꺼입니다.

 

 

총평 : 

 

- 일단은 스텟, 스킬적으로 보자면 진츠, 센다이로 대표되는 일본 죽창 버퍼 라인에게 필적할 깡패입니다.

 

진츠 : 본인 뎀감 20%, 아군 구축/경순 뇌장+20%, 장전+20%, 어뢰 크확+10%, 크뎀+30%

센다이 : 아군 구축/경순 뇌장+15%, 장전+15%

노시로 : 본인 회피율+15%, 전열 어뢰 피격뎀 -20%, 어뢰뎀 +20%, 어뢰 크확 +12%

키누 ; 전열 잠수함 피격뎀 -15%, 자버프 화력, 대공, 대잠+15%, 뇌격뎀+15%, 자버프 어뢰 2번째 재장전할 확률 30%

- 거의 그냥 거를 라인업이 없을 정도로 어뢰 딜에 미친 함선들이 즐비합니다.

- 노시로의 가장 큰 장점은 아군 전열 전체의 생존성도 올려주고 (어뢰 피격뎀 줄여주니까), 그와중에 어뢰 딜도 올려주는 점입니다. 기존의 센다이, 진츠는 결국 PR함인 이부키에게 버프를 못주었다면, 노시로는 줄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 연전에서의 메타는 사실 이제 갈수록 전열이 이전에는 죽창 싸움에 목숨 걸었다면 현재는 그런 시점은 아닌지라, 생각보다 약빨은 크지 않을껄로 고려됩니다.
- 정규 해역에서의 사용이야, 오토러 기준으로는 답이 도저히 안나오는 어뢰를 쏘는 멍청함을 생각하면, 그냥 이벤트 해역에서 엘리트 학살시에 이부키 버퍼로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키누 (경순양함, SR, 개장有) : 이벤트 포인트 4000PT 교환, 이벤트 해역 드랍, 한정건조 (01:05:00, 0.7%)

스텟 :

키누는 나오자마자 바로 개장까지 추가된지라, 풀개장 기준하의 스텟입니다

뇌장 경순인 시점에서 어짜피 주 비교 대상은 그냥 유니온 라인이 아니라, 주로 중앵 혹은 로얄하고 비교일테니 그쪽 메이져한 함선들하고 비교하자면,

 

중앵

진츠改 내구2855 대공300 뇌장402 어뢰180%  
센다이 내구2780 대공276 뇌장391 어뢰180% 
노시로 내구3278 대공333 뇌장373 어뢰175% 
키누 내구3126 대공319 뇌장354 어뢰180%

 

로얄

벨파스트 내구3970 대공293 뇌장340 어뢰155%

스위프트슈어 내구3796 대공304 뇌장364 어뢰155%

시리우스 내구3744 대공385 뇌장161 어뢰130%

셰필드 내구3796 대공351 뇌장295 어뢰150%

뉴캐슬改 내구3928 대공387 뇌장285 어뢰125%

 

- 내구는 중앵권 내에서는 두번째로 높음, 대신에 로얄 대비 밀림

- 대공은 로얄-중앵권에서 중상위권 위치

- 뇌장+어뢰 보정은 중앵권에서 메이져 성능 경순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제일 딸리지만, 당연히 로얄라인은 다 압도

- 어뢰에 목숨건 전형적인 중앵 라인업 다운 모습이라면 모습

 

 

스킬1 : 전투 개시시, 자신의 화력/대공/대잠능력을 5(15)% 증가, 자신이 전투 가능한 상태일시, 적 잠수함, 잠수항모에게 받는 데미지를 5(15)% 감소

- 따지자면 전반부는 자기 자신의 자버프, 후반부는 본인 생존시 조건하에서 적 잠수함/잠수항모에게 받는 데미지 경감입니다.

- 전반부 자버프 문제점이라면 자기 자신의 자버프라고 하지만, 대잠이 쓸모있는 경우는 제한되어있고, 대공은 12지나 13지에서의 생존성 증가역할에 국한되고, 그리고 화력을 올려준다고 해도 키누 자신이 애당초 죽창러지, 주포로 조지는 스타일의 함선은 전혀 아니라는 점입니다. 한마디로 어뢰딜이 장점인 애에게 어뢰딜을 올리게 뇌장, 장전을 올려주거나, 받는 데미지 감소 혹은 회피를 올려줘서 생존성을 보조해주는게 아니라 전혀 쌩뚱 맞은걸 올려줍니다.

- 후반부 대잠 피해 경감도 문제점은 결국 동일합니다. 대잠이라는 컨텐츠 자체가 너무 제한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 키누 본인은 결국 대잠 스페셜리스트인가? 라고 하기에는 결국 체이서하고 쾰른이라는 대잠분야 전문가들이 있어서 굳이 먼저 선택될 애는 아닙니다.

 

스킬2 : 자신의 어뢰 데미지가 5(15)% 증가, 어뢰 발사시 15(30)% 확률로 2회 발사

- 개장 되서야 쓸만한 스킬을 들고옵니다. 자버프 어뢰 데미지 15%, 그리고 어뢰를 쏠때 30% 확률로 2회 발사입니다. 

- 어뢰 데미지 증가는 확정 발동이긴 합니다만, 함대 범위가 아니라, 자기 자신 한정이고, 어뢰 발사시 2회 발사는 결국 확률제라는 문제 아닌 문제를 가집니다. "버프는 어디선가 누군가 주겠지"(어짜피 다 중앵 국적 적폐라인들이겠지만) 식의 운용이 될수 밖에 없습니다. 

 

 

총평 : 

 

- 일단은 스텟, 스킬적으로 보자면 진츠, 센다이로 대표되는 일본 경순-전열 버퍼 라인에게 한자리 잡을만 합니다. 물론 앞서지는 못합니다. 상대적으로 콩라인 느낌?

- 사실 비슷한 포지션을 노시로가 오기도 했으니까, 솔직히 저 라인업이면 딜적인 측면은 센다이 혹은 키누가 제일 딸립니다. (센다이의 경우는 솔까말 10초대에 뇌격을 날라갈 경우가 손토를 제외하면 없으니, + 키누는 결국 자버프 가득 + 적 잠수함 상대시에 편한건데, 정규 해역 기준으로는 대잠맵을 제외하고는 적 잠수함이 나오는 곳은 없는걸 생각하면 좀 의미가 없습니다.)

- 센다이하고 키누가 딸리는 점은 하나 더라면, 생존성에서 진츠나 노시로의 경우에는 스킬상 뎀감이나, 회피율을 받는 반면에 둘은 그런것이 전무합니다. (키누야 대잠 데미지 경감 있다지만 평시에 적 잠수함이 있어야지 의미 있으니)

 

 

 

카스미 (구축함, SR) : 한정건조 (00:28:00, 2.5%)

스텟 :

- 전형적인 중앵 양산형 구축함 SR 등급 스텟입니다.

- 뇌장/어뢰보정은 높게, 본인 내구도, 회피, 대공, 화력, 주포 효율은 바닥으로!

- 역사적으로 오래 살았다고 행운만 그냥 잘 받았습니다. (뭐 45년까지 살았으니..)

 

 

스킬1 : 전투 개시시, 전열 함대 내에 자신 이외의 함선이 2척 이상 있을시에, 전열 중앵 소속 함선의 뇌장을 5(15)% 증가 

- 조건은 자신 이외의 전열 함선이 2척 이상이니까 한마디로, 포함 함선 3척으로 짜라는 말이고, 버프 조건은 함종 제한이 안걸려있고, 국적 제한만 붙어있습니다.

- 그간 중앵 중순들이 뇌장 버프도 못받는 왕따신세라서 넣어준거 같긴 합니다.

 

스킬2 : 매 20초마다 15(30)% 확률로 발동, 6초간 자신이 받는 모든 공격을 회피

- 보통 양산형 구축함, 특히 홍차산 구축함들에게 심심하면 붙어있는 긴급회피입니다. 그냥 자생기 역할

 

 

총평 : 

 

- 그냥 특별하게 좋을것이 없는, 이벤트 특징상 그냥 테두리 받을려고 70랩까지만 키우고 풀돌해서 도크에 쳐박으면 될것으로 생각되는 함선입니다.

 

 

 

히비키 (구축함, SR) : 이벤트 누적 포인트 보상 (10,000PT~) ONLY

스텟 :

- 전형적인 중앵 양산형 구축함 SR 등급 스텟입니다.

- 뇌장/어뢰보정은 높게, 본인 내구도, 회피, 대공, 화력, 주포 효율은 바닥으로!

- 역사적으로 오래 살았다고 행운만 그냥 잘 받았습니다. (소련에게 팔려갔으니..)

- 농담반 진담반으로 개장 나오면 베르니(Верный) 되는거 아니냐는 말도 있습니다.

 

 

스킬1 : 어뢰 발사시 15(30)% 확률로 2회 발사, 본인의 내구도가 20% 이하시에, 내구도 10%를 회복, (해당 내구도 회복은) 전투당 1회만 발동 가능

- 어뢰관련 연타 공격형 버프 하나에, 자생기랄가나 마지막 보험같은 생존기 하나가 끼워팔기 되었습니다.

 

스킬2 : 제6구축대 소속 다른 함선(이나즈마, 이카즈치, 아카츠키)와 같이 편성시, 자신의 화력, 뇌장, 장전을 5(15)% 증가, 해당 버프는 중첩되지 않음

- 역사적으로 동일한 함대 소속인 함선들과 같이 편성시에 발동하는 자버프입니다.

- 중첩되지 않는다는 말은, 자신 이외에 함선에 제6구축대 다른 함선 2척을 넣어도 15%+15% 식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딱 1번만 적용된다는 말입니다.

- 문제점은 저기 함선들 모두 다 굳이 일부러 키워서 쓰는 함선은 아무도 없습니다.

 

 

총평 : 

 

- 그냥 특별하게 좋을것이 없는, 이벤트 특징상 그냥 테두리 받을려고 70랩까지만 키우고 풀돌해서 도크에 쳐박으면 될것으로 생각되는 함선입니다.

- 혹시라도 베르니로 개장 나올꺼 염두할 경우에는 70랩이 아니라 90랩정도까지만 키우면 될꺼입니다. (태생이 SR이니)